광고
광고
로고

[한국리서치]한국사회갈등‘與野94%-이념92%-빈부90%, 여야-이념갈등은 한국사회 가장 큰 갈등 축’

“이념갈등이 심각하다는 인식은 세대나 이념성향 관계없이 다수가 동의
30대 이하는 남녀갈등, 40대는 계층갈등 ‘매우 심각하다’ 의견 다수”

박우식 기자 | 기사입력 2024/06/14 [00:07]

[한국리서치]한국사회갈등‘與野94%-이념92%-빈부90%, 여야-이념갈등은 한국사회 가장 큰 갈등 축’

“이념갈등이 심각하다는 인식은 세대나 이념성향 관계없이 다수가 동의
30대 이하는 남녀갈등, 40대는 계층갈등 ‘매우 심각하다’ 의견 다수”

박우식 기자 | 입력 : 2024/06/14 [00:07]

한국리서치는 한국사회의 갈등 수준을 파악하기 위한 조사를 실시한 결과 '여야 정치진영'에 따른 정치갈등이 94%, '보수와 진보'의 이념갈등이 92%, '부유층과 서민층'의 빈부갈등이 90%로 가장 강했고 뒤를 이어 노사, 세대, 정규직과 비정규직, 지역 갈등이 80%대로 높았다고 12일 밝혔다

 

지난해에 이어 여당과 야당, 진보와 보수, 부유층과 서민층, 기업가와 노동자 간 갈등 크다고 인식

 

지난 2024531~63일 실시한 조사결과에 따르면 현재 우리나라의 갈등 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주요 10개 집단별 갈등 정도를 4점 척도(아주 작다, 작은 편이다, 큰 편이다, 아주 크다)로 물어보았다. 그 결과 여당과 야당의 갈등이 크다(아주 크다+큰 편이다)는 응답이 94%로 가장 높았고, 진보와 보수(92%), 부유층과 서민층(90%), 기업가와 노동자(85%), 기성세대와 젋은세대(84%), 정규직과 비정규직(83%), 수도권과 지방(80%)의 갈등이 크다는 응답이 뒤를 이었다.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간 갈등은 항목으로 제시한 10개 집단 중 갈등수위가 가장 낮았으나, 이마저도 62%갈등이 크다고 인식한다. 서로 대립하는 집단 간 갈등을 전반적으로 심각하게 보고 있는 것이다.

올해 조사에서도 여야갈등, 진보-보수갈등 등 이념갈등이 한국사회의 가장 큰 갈등으로 인식되고 있다. 부유층-서민층, 기업가-노동자, 정규직-비정규직 등 계층갈등이 그 뒤에 자리잡고 있으며, 세대갈등과 지역갈등이 큰 차이 없이 뒤를 잇는다. 남녀갈등과 중앙정부-지방정부 갈등은 다른 갈등보다는 덜하지만, 역시 많은 사람들이 큰 갈등으로 받아들이고 있다.

            [출처=한국리서치]

 

이념갈등이 심각하다는 인식은 세대나 이념성향 관계없이 다수가 동의30대 이하는 남녀갈등,

40대는 계층갈등 매우 심각하다의견 다수

 

집단별 갈등인식 조사를 처음 시작한 2018년 조사결과와 비교해 볼 때도, 여야갈등이 아주 크다는 인식은 62%에서 70%, 진보-보수 갈등이 아주 크다는 인식은 52%에서 64%로 증가했다. 또한 이념갈등이 다른 갈등에 비해 크다는 데에는 모든 세대의 생각이 일치한다. 세대와 관계없이 10명 중 6~7명이 여야갈등과 진보-보수 갈등이 아주 크다는 데 인식을 같이한다.

 

그런데 이념갈등을 제외한다면, 각 세대별로 가장 심각하게 받아들이는 갈등은 조금 다르다. 먼저 18-29세 젊은층이 이념갈등 다음으로 심각하게 인식하고 있는 갈등은 남녀갈등이다. 18-29세 중 53%가 남녀갈등이 매우 크다고 생각하고 있다. 이는 부유층-서민층 갈등(40%), 기업가-노동자 갈등(35%), 정규직-비정규직 갈등(27%) 등 계층갈등이 매우 크다는 인식을 뛰어넘는 결과이다. 반면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남녀갈등을 심각하게 바라보는 사람의 수는 크게 감소하는데, 60대에서는 7%, 70세 이상에서는 8%만이 남녀갈등이 매우 크다고 인식한다.

 

기성세대와 젊은세대 간 갈등에 대해서도 18-29세는 47%매우 크다고 생각해, 전체 평균(33%)보다 14%포인트 높다. 세대갈등 또한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갈등이 심각하다는 인식 또한 낮아지는데, 60대에서는 23%, 70세 이상에서는 29%가 세대갈등이 매우 크다고 생각해 18-29세의 인식과 차이를 보인다.

 

3·40대가 주목하는 갈등은 계층갈등이다. 부유층-서민층 간 갈등에 대해서는 30대의 59%, 기업가-노동자 간 갈등에 대해서는 30대의 47%매우 크다고 인식해, 전체 평균보다 각각 10%포인트 높다. 40대도 58%가 부유층과 서민층의 갈등이, 44%가 기업가와 노동자의 갈등이 매우 크다고 생각해, 전체 평균 대비 높다. 또한 30대에서도 42%가 남녀갈등이 매우 크다고 인식해, 18-29세와 의견을 같이 한다.

 

70세 이상에서는 영호남 갈등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크다. 70세 이상에서는 절반이 넘는 52%가 영호남 갈등이 매우 크다고 생각한다. 전체 세대 중 영호남 갈등이 매우 크다는 인식이 50%를 넘는 세대는 70세 이상이 유일하다. 반면 18-29세는 29%만이 영호남 갈등이 매우 크다고 생각해 대비되는 모습을 보인다.

 

우리 사회 발전을 위해 시급히 해결해야 하는 갈등은 이념갈등

계층성별세대갈등 시급히 해결해야 한다는 응답은 엇비슷해

 

10개 집단 간 갈등 가운데, 우리 사회 발전을 위해 시급하게 해결해야 하는 갈등의 양상으로 여야 갈등(52%), 진보-보수 갈등(49%) 등 이념갈등이 지난해에 이어 상위권을 차지하였다. 이들 갈등을 시급히 해결해야 한다는 사람은 1년 전 대비 소폭 늘어, 갈수록 악화되고 있는 정치적 양극화 문제에 대한 국민의 우려를 잘 보여주고 있다.

부유층-서민 갈등(32%), 기업가-노동자 갈등(28%), 정규직-비정규직 갈등(27%) 등 계층갈등을 시급히 해결해야 한다는 응답은 1년 전 대비 소폭 하락하였다. 남녀갈등(26%) 및 세대갈등(24%)을 시급히 해결해야 한다는 응답은 전년 대비 큰 변화 없이 계층갈등을 시급히 해결해야 한다는 응답과 비슷한 수준이다. 수도권-지방 갈등(22%), 영호남 갈등(19%), 중앙정부-지방정부 갈등(10%) 등 지역갈등을 시급히 해결해야 한다는 응답은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다. 다만, 영호남 갈등을 시급히 해결할 필요가 있다는 응답은 1년 전(10%)보다 두 배 가량 높아졌다.

18-29세는 65%, 30대에서는 48%가 남녀갈등을 시급히 해결해야 한다고 인식해 60대 이상의 인식과 큰 차이를 보인다. 이들 세대는 이념이나 계층갈등보다도 남녀갈등 해결이 더 시급하다고 본다. 50대부터는 여야갈등과 진보-보수 갈등 해결이  시급하다는 사람이 절반을 넘으며, 특히 70대에서는 70% 이상이 이념갈등 해결이 시급하다고 본다. 보수층에서도 65%가 여야갈등 해결이 시급하다고 인식해, 중도(48%)나 진보(46%)층에 비해 높다.

              [출처=한국리서치]

 

이념갈등은 심각성, 개선 필요 인식 모두 여전히 높은 가운데

영호남 갈등은 심각하다는 인식과 개선 필요하다는 인식 모두 지난 해 대비 높아져

 

갈등 심각성 인식과 개선 필요성을 지난해 결과와 비교해 보았다. 전반적으로 갈등이 아주 크다고 볼수록 개선이 필요하다는 인식 또한 높다. 여야갈등, 진보-보수 갈등 등 이념갈등은 지난해와 올해 모두 갈등이 아주 크다는 인식과 개선이 필요하다는 인식이 모두 높다.

 

지난 해 대비 갈등이 아주 크다는 인식이 증가했다면 산점도의 화살표 방향이 오른쪽으로 향하며, 반대로 감소했을 경우 왼쪽으로 향한다. 지난 해 대비 개선이 필요하다는 인식이 증가했다면 화살표 방향이 윗쪽으로 향하며, 반대로 감소했을 경우 아래쪽으로 향한다.

 

이를 종합해 보면, 화살표의 방향이 우상향일 경우 갈등이 아주 크다는 인식, 개선이 필요하다는 인식이 모두 지난 해 대비 증가했음을 뜻한다. 갈등 양상이 지난해보다 심각해졌음을 의미하는데, 대표적으로 영호남 갈등이 여기에 해당한다. 반대로 화살표의 방향이 좌하향일 경우 갈등이 아주 크다는 인식과 개선이 필요하다는 인식이 모두 감소해, 지난 해 대비 갈등이 완화되었음을 의미한다. 부유층-서민층, 기업가-노동자, 정규직-비정규직 등 계층간 갈등이 여기에 해당하는데, 1년 전보다 갈등이 아주 크다는 인식도, 개선이 필요하다는 인식도 소폭 낮아졌다. 수도권-지방 간 갈등, 남녀갈등 등은 1년 전보다 갈등이 아주 크다는 인식은 낮아졌으나, 개선이 필요하다는 인식은 1년 전보다 소폭 상승해, 화살표가 좌상향 양상을 보인다.

 

 

                [출처=한국리서치]

 

이번 조사는 지난 531~63일 나흘 동안 전국의 만 18세 이상 남녀 1,000명을 한국리서치 마스터샘플(4월 기준 약 88만명)에서 웹조사(휴대전화 문자와 이메일을 통해 url 발송)방식으로 진행했다. 표본오차는 무작위추출 전제로 95% 신뢰수준에서 표집오차는 ±3.1%p이다.

  • 도배방지 이미지

여야갈등, 이념갈등, 빈부갈등 관련기사목록
광고
포토뉴스
이동
메인사진
[맛집] 화덕 생선구이, 코다리 한상 그리고 회까지 맛있는 곳
  • 썸네일>
  • 썸네일
  • 썸네일
  • 썸네일
  • 썸네일
  • 썸네일
광고
광고